메뉴 건너뛰기

보도자료

본문시작

 

■ 경제와이드 백브리핑 시시각각

<앵커>
산업수학 이란거 들어보셨습니까?

용어가 생소하시겠지만 구글의 인공지능 프로그램 알파고나 생체인증 보안서비스 같은 첨단 분야들이 바로 이 산업수학에 기초하고 있습니다.

해외에서는 일찌감치 산업수학의 잠재력을 인지하고 많은 투자와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는데요.

우리 정부도 산업수학 육성에 팔을 걷어부쳤습니다.

오늘 뉴스&화제에서 다뤄볼 주제는 산업수학입니다.

윤소라 기자.

<기자>
네, 윤소라입니다.

<앵커>
앞서도 언급하긴했지만 여전히 어렵습니다. 

'산업 수학'이 어떤 개념인지 설명부터 해 주시죠?

<기자>
수학은 많이 들어보셨어도 '산업 수학'이라는 말은 생소하시죠.

산업수학이란 수학적 이론과 분석방법을 활용해서 문제를 해결하거나 산업의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활동을 일컫습니다.

쉽게 말해 산업적 문제를 기하학이나 확률론, 대수학, 행렬 등 수학으로 해결하는 겁니다.

<앵커>
예를 좀 들어 설명해주시죠. 

<기자>
예를 들어, 인공지능 컴퓨터 알파고가 컴퓨터 프로그래밍 기술로 만들어진 것이라고 알려져 있는데요.

사실 알파고의 핵심 기술인 딥러닝에는 수학 알고리즘이 적용됐습니다. 

그래서 알파고의 행동이나 판단 결과를 수학으로 설명할 수 있는거죠.

<앵커>
구글의 인공지능 컴퓨터 알파고가 산업수학에 기초해서 만들어졌다.

그럼 윤 기자, 첨단 IT 분야가 산업수학을 활용하고 있다고 보면 되는 건가요?

<기자>
IT 외에도 다양한 분야에 수학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영화 산업 역시 수학이 활용되고 있는 분야입니다.

<앵커>
영화에서 수학이요?

이해가 안가요.

어떤 수학이 적용되는 겁니까?

<기자>
2013년 개봉한 애니메이션 '겨울왕국' 중 주인공이 눈보라를 헤치고 나아가는 장면 기억하시나요?

이 장면에는 등위집합이라는 수학이론이 적용됐는데요.

눈보라가 더 자연스럽고 현실감있게 보이게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또 봄만 되면 찾아오는 구제역과 조류 독감의 전염 경로를 파악하고 차단하는 데도 기하학이라는 수학이 활용됩니다.

의료 분야에서는 산업수학이 암발생 확률을 예측하는데도 활용됩니다.

전자상거래 보안을 강화하는 것도 수학을 기초로 이루어지는 산업입니다.

<앵커>
수학의 개념이 굉장히 넓은 것 같습니다.

정말 생각치도 못한 다양한 산업 곳곳에서 활용되고 있는데요.

윤 기자, 국내 수학계는 어때요?

산학협업 활발합니까?

<기자>
애석하게도 우리나라에서 수학은 아직 연구실을 벗어나 산업 현장으로 많이 나아가지 못했습니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글로벌 기업 삼성전자에서 수학자 출신의 연구 개발 인력이 얼마나 될 것 같으세요?

<앵커>
글쎄요.

그래도 삼성이고, 매년 연구 인력을 뽑으니까 못해도 몇 백 명 되지 않을까 싶은데요?

<기자>
관계자의 말을 들어보니 삼성에 있는 수학자 출신의 연구 개발 인력은 단 3명이라고 합니다.

<앵커>
세명이요?

<기자>
그중에도 2명은 얼마 전에 채용했다고 하고요.

<앵커>
윤 기자, 사실 우리나라는 수학강국 아닙니까?

<기자>
우리나라 수학계는 SCI급 논문 등을 기준으로 평가하면 세계 11위권에 오를 정도로 꽤 수학 선진국으로 평가받거든요.

그런데 수학 박사의 1.8%만 산업체로 진출하고 나머지는 교수나 연구자로 남는다고 합니다.

산업계와 수학계간 교류나 협업이 많이 부족한 현실입니다.

<앵커>
학계에서 산업계로 뻗어나가지 못한다는건 데, 그럼 우리나라에서는 산업 수학을 키워보려는 움직임이 전혀 없었던 겁니까?

<기자>
이제 시작단계라고 봐야합니다.

서울대학교에서는 기하학, 해석학, 대수학등을 활용해서 기술 개발을 하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예를들면 구제역이나 조류 독감의 전염 경로를 파악하고 차단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고요.

수학을 활용해 한국형 알파고를 만들어보려는 움직임도 있습니다.

또 대수학을 기반으로 한 동형암호를 통해 개인 정보를 노출하지 않고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기술도 개발됐습니다.

<앵커>
구체적으로 이런 움직임이 나타나는 기업은 없습니까?

예를 들어주시죠.

<기자>
최근에는 SK텔레콤과 이스트소프트가 수학계와 협력 프로젝트를 추진하겠다는 계획을 밝히기도 했습니다.

<앵커>
물꼬를 조금씩 트고 있는 거네요.

활성화를 위한 대책이 필요한 시점인 것 같은데요. 

어제 정부차원의 육성방안이 나왔다면서요.

정부는 어떻게 산업 수학을 활성화 하겠다는 겁니까?

<기자>
정부는 어제(27일) 산업수학 육성방안을 내놨습니다.

정부의 육성 방향은 크게 학계와 산업계 간 자생적 생태계 조성에 방점이 찍혀 있습니다.

협력 생태계 조성을 위해 산학연간 상시 라운드 테이블을 만들고, 수학자와 기업, 연구소의 전문가가 참여해 산업 현장의 문제를 해결해 주는 개방형 문제해결 플랫폼 등도 가동할 예정입니다.

또 범죄 예방, 의료서비스, 교통,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등 산업 경쟁력 관점에서 시급한 연구 과제들을 발굴해 추진할 계획입니다.

교육 시스템도 개편되는데요.

대학내 산업수학센터를 운영해 기업과의 협력 창구로 활용하고, 산업수학에 특화된 석박사 과정도 도입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국내 수학인재들의 진출비율을 5년 뒤인 2021년에는 20%대로 끌어올리겠다는 구상입니다.

<앵커>
산업의 난제를 해결하고 혁신적인 상품을 개발하는데 수학이 중요 요소로 부상하면서 정부가 산업수학 육성을 위한 칼을 빼든 모습입니다.

구체적인 방안도 좋지만 선진국들은 산업수학 육성을 위해 15년 이상 지속적으로 지원해 왔다는 점, 반드시 기억해야 할 것 같습니다. 

윤소라 기자였습니다.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24 천정희 서울대 교수, 암호학적 다중선형함수 해독…난제였던 안전성까지 잡아 2018.12.06 100
23 암호기술 혁명 - 동형암호 2018.10.26 328
22 ‘양자내성 암호’ 기술 개발 천정희 서울대 교수 file 2018.10.05 680
21 이스트소프트, AI 안경 가상피팅 앱 '라운즈' 출시 file 2018.06.28 278
20 산업수학, 4차 산업혁명 ‘문제해결사’ file 2018.05.21 101
19 수학으로 산업현장 문제 해결 …17~19일 사례 공유 file 2018.05.21 111
18 산업수학 컨퍼런스 ‘Math to Industry’ 17~19일 서울대에서 열려 file 2018.05.21 136
17 "수학 산업의 허브가 되다"...산업수학 컨퍼런스 개최 file 2018.05.21 47
16 산업수학 성과와 미래 한자리에 file 2018.05.21 26
15 동형암호의 산업적 활용 방안 기대 커졌다 file 2018.05.21 142
14 산업수학 컨퍼런스‘Math to Industry’개최 file 2018.05.21 18
13 마이크레딧체인 서울대 수학기반 산업데이터해석 연구센터와 산합협력 맺어 file 2018.05.21 131
12 [지디넷코리아]4세대 암호 '동형 암호' 주목...하반기에 세계 첫 상용화 file 2018.05.09 64
11 보스코인, 투표 솔루션 개발...익명성·1인1표 동시 보장 file 2018.05.07 111
10 [과학] 빅데이터 활용 개인정보 보호 4세대 암호 혜안을 믿어라! file 2018.04.04 221
9 빅데이터, 암호화 된 그대로 분석… 개인정보 유출 원천차단 file 2018.03.23 182
8 공인인증서 제도 폐지…공공·금융기관 사용의무 없앤다 file 2018.01.23 61
7 암호화된 개인정보, 복호화 없이 분석 가능 file 2018.01.23 93
6 인터리젠, 딥러닝 기술 적용한 ‘인공지능형 FDS’ 개발 추진 file 2016.09.29 1240
» "산업수학 키운다"…육성 플랜 가동 file 2016.09.23 220